본문 바로가기
스마트 정보꾸러미

서울시 청년 교통비지원 신청 방법

by 스메 2022. 7. 31.

서울청년교통비지원_썸네일

 

출퇴근을 하는 서울시 뚜벅이 청년들은 주목하셔야겠습니다.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을 위해 대중교통비를 지원합니다.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만 19~24세 청년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교통마일리지를 지급한다고 합니다. 자세한 지원 내용과 신청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신청 기간

7월 11일 ~ 8월 31일 18:00 시까지

 

 

지원 대상

신청일을 기준으로 해서 주민등록상으로 서울시에 거주 중인 만 19세~24세인 청년

(97년 1월 1일 ~ 03년 12월 31일생)

※ 지원 제외 대상은 2022년에 해당 지원사업에 참여해서 이미 지원금을 받아 간 사람입니다.

해당 지원사업이란, 고용노동부의 취업 지원제도, 중소기업 청년교통비 지원사업, 서울청년수당입니다.

 

 

지원 금액 및 지급 방법

  • 교통카드로 이용한 금액의 20%를 지원하되, 연간 최대 10만원까지입니다.
  • 11월까지의 교통카드 결제 내역을 정산한 후, 결제액의 20%를 마일리지로 적립해주는 형태입니다.
  • 지급 방법은 사용하는 교통카드에 따라 교통 마일리지로 지급합니다.
  • 선불이나 후불카드 모두 가능합니다.

 

 

지급 시기

2022년 12월 중으로 예정되어 있으며, 정확한 시기는 추후 공지 예정입니다.

 

 

신청 방법

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.

1) 티머니교통카드 이용자

  • 티머니 카드와 T마일리지 서비스 등록
  •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서 신청
  • 참여자 자격 검증을 통해 12월에 지급

※ 삼성페이로 이용한 교통비는 반드시 티머니 교통카드로 신청하셔야 합니다.

 

2) 카드사 이용자 (비씨, 삼성, 신한, 우리, 하나, 국민)

  • 이용 중인 교통카드(신용/체크)의 발행사 확인
  •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서 신청
  • 참여자 자격 검증을 통해 12월에 지급

※ 신청 기간이 끝난 후에는, 입력한 카드사를 바꿀 수 없으니 처음부터 정확히 카드사를 입력하시기 바랍니다.

예) '신한카드'인 경우, 청년이 가지고 있는 신한카드로 사용한 요금 20%를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합니다.

단, 해당 청년이 신한, 삼성, 비씨카드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1개의 카드사로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.

1개의 카드사 안에서의 카드 개수 제한은 없습니다.

 

 

■ 등록 가능한 교통카드

1) 티머니 선불교통카드 : 삼성페이, 모바일티머니, 티머니 플레이트 카드

2) 삼성카드 / KB국민카드 / IBK기업은행BC카드 / 신한카드 / 하나카드 / 우리카드 / 하나카드 / 하나BC카드 / BC바로카드- 우리카드 사용자는 “BC카드 - 우리” 선택

 

 등록 불가한 교통카드

아래 카드로는 등록하여도 지원 마일리지가 지급되지 않습니다. 유의하여 주십시오.

  • 아이폰의 티머니페이 카드번호
  • 티머니가 아닌 모바일 교통카드
  • 롯데, 현대, NH농협, 카카오, 토스카드
  • 비씨카드

 

 

매일 출퇴근을 하다 보면,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교통비 부담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. 서울시의 청년 교통비 지원 사업을 통해 새내기 사회인 청년들이 많은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. 청년들을 위한 또 다른 지원 사업이 궁금하시다면, 블로그의 아래 포스팅들도 보고 가시기 바랍니다.

2022.07.31 - [스마트 정보꾸러미] - 청년 면접정장 대여 서비스, 비수도권에도 있다!?

 

청년 면접정장 대여 서비스, 비수도권에도 있다!?

면접용으로 한번 입을 정장, 내 돈 주고 사기엔 비싸고 싼 걸 사자니 면접 때 허접해 보일까 봐 걱정입니다. 수도권 지역의 청년들을 위해 면접정장 대여 서비스가 있다는 것은 들어보셨을 겁니

movietalktalk.tistory.com

 

2022.07.17 - [스마트 정보꾸러미] - 2022 청년내일저축계좌의 모든 것

 

2022 청년내일저축계좌의 모든 것

청년들이 저축을 통해 더 큰 혜택을 받아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준비된 내용을 알려 드립니다. 360만 원을 저축하여 만기 수령금 최대 14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고 해서, 현재 청년 내일 저축계

movietalktalk.tistory.com

 

2022.07.15 - [스마트 정보꾸러미] - 실업급여 조건 총정리 (자진 퇴사해도 받을 수 있을까?)

 

실업급여 조건 총정리 (자진 퇴사해도 받을 수 있을까?)

포스팅의 제목과 같은 고민을 해 본 적 있으실 겁니다. 직장인들이 가장 자주 머릿속에 떠올리는 질문이기도 합니다. 권고사직이나 강제 퇴사를 당하지 않는 이상, 내 결정으로 회사를 그만둔다

movietalktalk.tistory.com

 

 

댓글